희망혁신 교육특구

진로·진학 정보

繩鋸木斷/水滴石穿(승거목단/수적석천)

노끈으로 톱질해 나무를 자르고 물방울이 떨어져 돌을 뚫는다.

상·중·하위권 대학별로 중요하게 보는 역량이 다르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동구진로진학지원센터 (14.♡.191.89) 댓글 0건 조회 4회 작성일 24-06-28 09:24

본문

상·중·하위권 대학별로 중요하게 보는 역량이 다르다?

  •  
 

- 상위권 대학에서는 학업역량과 전공적합성
- 중위권 대학에서는 전공적합성

[사진=서울대학교][사진=서울대학교]

학생부종합전형의 서류평가는 학교생활기록부를 중심으로 학생이 대학 입학 후 학업 수행에 적합한 역량을 갖추고 있는지에 대해 대학별로 평가요소 및 기준을 정해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연세대, 중앙대 등 5개 대학 공동연구 결과로 발표된 학생부종합전형 평가요소 및 내용에 따르면 이전의 학업역량, 전공적합성, 발전가능성, 인성을 학업역량, 진로역량, 공동체역량으로 묶어 평가요소를 단순화했다. 그렇다면 모든 대학이 평가요소를 동일한 비중으로 두고 선발하고 있을까?

여기서 주목해야 할 사실이 있다. 대학 위상에 따라 평가요소의 경중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최상위 대학인 서울대는 학업역량과 자기성찰능력을 포함한 인성영역이 뛰어난 학생이 선발 된다. 전국의 수재들이 모이는 대학인만큼 특정한 분야에 역량이 특화돼 있는 학생이 아니라, 전 영역에서 고루 우수성을 보이는 학생들이 지원하기 때문에 학업역량과 인성의 미묘한 차가 합불을 결정하게 된다. 서울대가 전공적합성을 평가요소로 두지 않는 것도 이런 이유이다.

반면 연세대 이하 상위권 대학에서는 학업역량과 전공적합성이 뛰어난 학생부가 많다. 서울대 선발로 걸러진 지원자 풀 안에서 그 중 우수한 인재를 찾아내기 위한 방책이다. 전체적으로 상위권의 학업역량을 갖춘 학생을 선발하는데, 그 중에서도 전공 관련한 역량이 뛰어난 학생을 선발한다.

전공적합성이 높은 학생들이 대학에서 전공 관련 탐구를 잘해 나갈 수 있고, 이 역시 학업역량이 뛰어나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서울대와 연세대 합격생의 학생부를 비교해 보면 연세대 합격생 학생부의 인성 관련 기록이 상대적으로 약한 경향을 보인다.

인서울 10~25위 사이의 중위권 대학에서는 전공적합성을 중요하게 평가한다. 이유는 3가지이다. 첫째, 현실적으로 학업역량이 출중하게 뛰어난 학생들은 상위권 대학에 지원한다는 점이다. 둘째, 지원자들의 성적대가 대학별로 비슷한 수준을 보이므로 학업역량에서 변별성을 찾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셋째, 앞서 짚었듯이 전공적합성이 높은 학생들은 전공 탐구를 잘할 확률이 높다는 점이다.

이런 이유로 비슷한 성적대 학생들 중에 전공 관련 역량이 뛰어난 학생이 이들 대학에 합격하고 있다. 물론 발전가능성과 인성 항목 역시 만족할 만하게 기록돼 있다.

전체 대학 중 25~40위권에 드는 대학에서는 전공적합성과 인성 기록이 좋은 학생을 선발하며, 그 아래 대학에서는 인성을 중심으로 학생을 선발한다. 하위권 대학으로 갈수록 지원자들의 학업역량과 전공적합성에서 변별성을 찾기 어렵기 때문에, 학업에 임하는 자세인 인성을 중심으로 평가하게 되는 것이다.

[사진=명문대 합격생 학생부 대공개 3][사진=명문대 합격생 학생부 대공개 3]

참고로 발전가능성은 모든 대학의 학생 평가에 있어 +α로 작용한다고 보면 크게 틀리지 않는다. 특히 하위권 대학에서는 인성을 주요 평가요소로 두지만 발전가능성 역시 눈여겨본다. 따라서 하위권 학생들은 인성과 발전가능성을 함께 높일 수 있는 학교활동을 해나가는 것이 학종 경쟁력을 높이는 방법임을 기억하자.

물론 대학들이 이런 사실을 공식적으로 밝히고 있는 것은 아니다. 대신 대학마다 선발하고자 하는 인재상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관념적으로 묘사된 인재상만 보고서는 대학별 선발 특징과 합불 지표를 명확히 알 수가 없다. 대학 역시 매우 특수한 전형이나 동점자의 합불을 가리는 마지막 단계를 제외하고는 인재상을 평가항목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드물다.

대학이 의도했든 의도하지 않았든 합격자 학생부를 분석하면 위와 같은 특성이 명확히 드러난다. 중요한 것은 학생 선발을 둘러싼 대학별 특성을 알고 학종을 준비해 가는 것이다. 이런 학생일수록 학종 합격 문에 한 발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은 '명문대 합격생 학생부 대공개3'에서 일부를 발췌한 것으로 전체 내용은 책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에듀진 기사 URL : http://www.eduj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248
기사 이동 시 본 기사 URL을 반드시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171건 1 페이지
진학정보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동구진로진학지원센터 6 06-27
공지 동구진로진학지원센터 150 02-14
공지 동구진로진학지원센터 146 02-14
공지 동구진로진학지원센터 189 01-10
공지 동구진로진학지원센터 321 09-07
공지 동구진로진학지원센터 496 03-20
2165 동구진로진학지원센터 6 06-28
2164 동구진로진학지원센터 8 06-28
2163 동구진로진학지원센터 6 06-28
2162 동구진로진학지원센터 8 06-28
2161 동구진로진학지원센터 6 06-28
2160 동구진로진학지원센터 5 06-28
열람중 동구진로진학지원센터 5 06-28
2158 동구진로진학지원센터 5 06-28
2157 동구진로진학지원센터 3 06-28
게시물 검색

대구광역시 진로진학 지원센터는
언제나 동구 학생들과 함께 합니다

문의전화 053-958-0607~8
운영시간 월 ~ 금요일 AM 9:00 ~ PM 6:00 / 상담시간은 사전예약시 (평일, 주말, 법정공휴일)탄력적으로 운영